본문 바로가기

낭만과 정이 넘쳐나는 명실상주 중앙시장 - 옛 전통시장의 따뜻한 인정을 간직한 시장

 

상주관광

  • home
  • 커뮤니티
  • 상주관광
107개 ( 9 / 11 Page )

용흥사  바로가기
용흥사(龍興寺)는 갑장산 서편 중턱에 자리잡은 조계종 산하의 전통사찰이다. 신라 문성왕 원년(839년) 진감국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1968년 극락보전을 해체 보수할 때 발견된 기문(記文)에 의하면, 고려 말 나옹화상이 창건한 후 1647년(인조 25)법심 인화(法心 印和)스님이 중창하고 1680년(숙종 6)에 사유(思裕), 홍치(弘治) 두 스...

신흥사  바로가기
상주 화북중벌 603-1번지에 소재한 조계종 사찰로 1988년 7월 21일로 지정되었다.1925년 김교순 보살에 의하여 창건하였으며, 법당에 안치된 탱화는 1873년(고종 10년)에 조성 한 것이다. 또 나반존자와 산왕제신상의 민화 2점을 보존하고 있다.

용화사  바로가기
용화사는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258번지에 소재하는 조계종 산하의 전통사찰로 1970년 10월 29일 등록되었다.676년(신라 문무왕 16)에 창건되었으며, 주요 문화재로 석불 입상(보물 118호)과 석불 좌상(보물 120호) 등의 불교 문화 유산을 보존하고 있는 유서 깊은 사찰이다.

상락사  바로가기
상주시 서성동 60-8번지에 소재한 조계종 산하의 전통사찰로 1988년 7월 21일 등록하였다.상주 불교 포교당으로 1921년 설홍스님이 창건하여 오늘에 이르며, 상주 지방 불교 부흥과 보급에 크게 기여해 온 사찰이다.당초 포교당이던 사찰명을 2002년 상락사(常樂寺)로 바꾸었다.

북장사  바로가기
북장사는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38번지 천주산(노악산의 서편)에 있다. 상주 4장사(남장사, 갑장사, 승장사 - 현재는 없음) 조계종 산하의 전통사찰로 1962년 9월 28일 등록되었다. 노악산은 상주 쪽에서 부르는 이름이며, 노음산은 외서면 쪽에서, 천주산은 내서면 쪽에서 부르는 이름이다. 북장사 사적기에 의하면, 천주산이라 함은 산 위에 수미굴(須彌屈)...

남장사  바로가기
남장사는 상주시 남장동 502번지에 소재하는 조계종 산하의 전통사찰로 상주 4장사(尙州 四長寺, 북장사, 갑장사, 승장사 - 현재는 없음)의 하나이다.830년(흥덕왕 5) 당나라에서 귀국한 진감국사가 개창하여 최초로 머문 사찰로 당시의 절 이름은장백사(長栢寺)였다. 1186년(고려 명종16) 각원화상이 장백사를 남장사로 개칭하면서 중창하였다.진감국사는 중국...

동해사  바로가기
동해사(東海寺)는 상주시 서곡동 227의 3번지에 있다. 일명 한산사(寒山寺)라고도 불리며 식산 고수대(高秀臺)밑에 자리잡았는데 조계종 산하의 전통사찰로 1962년 9월 28일 등록되었다.1398년(태조 7) 무학대사가 "상주는 지형이 행주형(行舟形)이어서 높은 곳에 집을 지어 주읍(舟揖)의 역할을 해야 안정하다"하여 지은 절이라 전한다.이후, 1638년(...

갑장사  바로가기
갑장사는 상주시 지천동 산5번지에 자리잡은 조계종 산하의 전통사찰로 상주 4장사(남장사, 북장사, 갑장사, 승장사 - 현재는 없음) 중의 하나이다.이 사찰은 명승지로 알려진 갑장산 정상에 자리하여 항상 연악(淵嶽)의 사계절을 독점하고 있다.사찰의 개기(開基)는 1373년(공민왕 22) 나옹화상이 창건하였으며, 경내에는 지방 문화재 자료 제125호인 삼층 석...

광덕사  바로가기
광덕사는 외남면 서산에 있으며, 백운당이 동학의 수행자로서 불교를 동경하고 광제창생 포덕천하의 도량으로 1925년 배순광이 창건하였다. 경내에 1952년 4월 5일 수운 최제우의 도덕연원 영세불망비를 세워 매년 이날 천제를 올리고 있다. 1988년 7월 21일 전통사찰로 등록되었다.1974년 법화종 말사로 등록, 1989년에 대웅전, 삼성각을 중수하고 삼존...

연수암  바로가기
연수암의 정확한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신라 흥덕왕 7년(832)에 진감국사가 건립한 장백사의 여러 암자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탑과 쌍사자 석등만 남아 1930년부터 토굴암자로 있다가 1940년에 재건되었다. 연수암이란 뜻은 천연의 바위를 중심으로 자리하고 연꽃이 피는 모양 아래 샘물이 항상 나온다고 한데서 연유하였다고 한다. 사찰 내에는 삼존...